검색어를 입력하면 한 달 뒤에 결과가 나오는 세상
- 2021-11-23 (modified: 2025-04-22)
검색어를 한 번 넣을 때 1,000만원이 들고 결과는 한 달 뒤에 나오는 세상을 상상해보자. 이 세상에는 웹 검색을 잘 하기 위한 도구와 방법론과 관련 업계와 전문가들이 존재한다.
- 산업별 검색어 편람: 각 분야별 최고의 검색어 전문가들이 선정한 최적의 검색어 십만 건을 엄선하여 매 년 개정판을 낸다. 분야별, 상황별 최적의 검색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사전 형태로 정리. 2022년 판에는 “메타버스” 챕터가 추가되면서 기존 총 10권에서 총 11권으로 개정되었다.
- 검색어 발견 워크샵: 찾고자 하는 정보를 가장 잘 찾을 수 있는 최적의 검색어를 발견하기 위한 아이데이션 워크샵. 보통 4시간 정도 진행하며 워크샵 장소는 되도록 회사에서 멀리 떨어진 한적한 공간으로 잡는다.
- 검색어 전문가: 관련 분야의 검색어 전문가에게 우리가 찾고자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어떤 검색어를 넣으면 좋을지 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 검색 에이전시: 정보 검색 업무만 대행해주는 전문 대행사가 있다. 검색어를 찾아주는 단계까지만 맡길 수도 있고 검색 결과 화면 분석 단계까지 턴키로 맡길 수도 있다.
- 검색어 품질 휴리스틱 평가: 우리가 입력하려고 하는 검색어가 과연 적절한지 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가 있다. 하지만 아무나 체크리스트만 쓴다고 효과를 보기는 어렵고 되도록이면 검색어 전문가가 평가를 수행하는 게 좋다.
- 검색 결과 분석: 1,000만원을 들여 얻어낸 검색 결과 화면은 너무나 소중하기 때문에, 검색 전문가들이 모여서 검색 결과를 깊게 분석하는 “분석 세션”을 진행한다. 검색 분석 결과는 보통 “분석 보고서” 형태 만들어지며 경영진 대상으로 프레젠테이션을 하곤 한다.
어느 날, 검색을 1초만에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며 이걸로 돈을 벌겠다는 스타트업이 나타났다. 데모데이의 전문가 피드백:
- 검색을 빠르게 해서 어디에 쓰자는 거죠?
- 검색은 일년에 한 두 번 밖에 안하는데 이 서비스를 과연 돈 주고 쓸까요?
- 정보를 찾을 때 보통은 서점이나 도서관에 가지 않나요? 도서관에는 사서가 있어서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이 서비스를 일반인이 쓸 수 있을까요?
- 검색은 대기업에서나 하는 거고,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검색을 안해요. 시장 규모가 너무 제한적이겠어요.
- 검색이 아무리 빠르면 뭐합니까? 최적의 검색어를 찾아줄 전문가도 없고 검색 결과를 분석하려면 어차피 전문가가 필요할텐데 말입니다.
생각해보기:
- 정성 조사를 1초만에 할 수 있다면 정성 조사 분야가 어떻게 변할까?
-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과 시간이 0에 수렴한다면 소프트웨어 공학이나 개발 프로세스가 어떻게 변할까? (참고: AI 시대의 소프트웨어 공학)